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3

공기조화란? 공기조화의 유형 '공기조화’란 HVAC(heating, ventilating and air-conditioning)의 모든 것, 난방, 환기 및 냉방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더 포괄적인 의미로는 온도, 습도, 청정도, 실내 공기의 질, 환기 등에 관한 제어를 포함한다. 공기조화 시스템의 주목적은 재실자에게 공간의 용도와 목적에 따라 최적의 생활공간이 될 수 있도록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공기조화시스템의 기본적인 기능으로는 냉·난방, 환기, 청정, 가습/감습, 다른 시스템과의 통합 및 제어를 들 수 있으며, 쾌적한 환경과 건강 유지라는 일련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장치, 제어, 운영전략 등으로 구성된다. 건구온도의 조절 : 가열(heating), 냉각(cooling) 여름철에는 일사 및 관류에.. 2022. 7. 17.
건물의 단열계획 및 결로 방지대책 구조체의 단열계획 단열은 건물 외피와 주거 환경 간의 열류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저항형, 반사형, 용량형의 세 가지 형태의 단열 메커니즘이 있다. 이 중에서 저항형과 반사형 단열은 순간적인 효과가 있는데 반해 용량형 단열은 시간의 함수로서 작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1973년 에너지 파동 이후 사용된 단열재는 상대적으로 값이 저렴하고 내구적이며, 여름철과 겨울철 모두 유용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단열재의 두께를 증가한다고 해서 열손실이 비례적으로 감소하는 것은 아니므로 기후조건과 에너지 절감 효과에 따라 단열재의 최적 두께를 결정해야 한다. 열관류율 여러 가지 재료로 구성된 구조체를 통한 열전달을 계산할 때, 전도, 대류, 복사의 복합적인 형태에 의한 열전달의 모든 요인들을 혼합하여 하.. 2022. 7. 16.
태양과 바람을 고려한 건물의 배치계획 건물의 배치 계획 대지를 선택하고 대지의 외부 공간을 형성한 후에는 적절한 위치에 건물을 배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건축계획 단계에서 태양과 바람의 영향을 고려하여 건물의 향을 결정하지는 않지만, 태양과 바람을 고려한 디자인 결정은 대지의 지속 가능성을 결정할 뿐 아니라, 난방, 냉방, 조명과 같은 건물 에너지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건물의 향을 결정짓는 것은 계획 단계에서 가장 기본적인 접근으로, 건물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태양과 바람의 영향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태양을 고려한 배치 방법 건물의 용도, 기능으로 고려하여 건물의 향을 결정하고, 건물의 일조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건물을 배치한다. 겨울철에는 일사를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고, 여름철에는 차단할 수 있어야 한다. 배치계.. 2022. 7. 16.
벤토나이트액, 발수제, 실링제의 특성 및 종류 벤토나이트 방수재료 벤토나이트는 팽윤 특성을 지닌 가소성이 높은 광물로서 건축 및 토목 분야의 지하 공사에서 방수 및 차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토목 부문 슬러리 월(slurry wall) 안정액 - 지하연속벽 공사 중 굴착면의 붕괴 방지와 지하수의 유입을 차단, 토사 및 시멘트와 혼합하여 불투수 차수벽의 건설에 사용된다. 연약지반 개량재 - 콘크리트 믹서를 이용하여 혼합한 벤토나이트와 토사를 롤러로 전압하여 연약한 지반을 개량한다. 건축 부문 지하 외벽용 방수재 - 지하구조물의 기초 슬래브, 외벽 및 상부 슬래브의 방수에 사용된다. 콘크리트 시공 조인트용 수팽창 지수재 - 콘크리트 시공 조인트의 지수판으로 사용된다. 벤토나이트액 특성 벤토나이트는 지각의 화산활동에 의해 분출된 화산재 물질로서 응회암.. 2022. 7.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