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재료학14

RC조 보수재료 및 콘크리트 보강용 섬유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재료 최근 지구환경의 보존 차원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라이프 사이클 분석 시스템이 구조물 평가에 도입되면서, 지구에 대한 환경 부담을 줄이는 한 가지 방법으로 구조물의 사용기간을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즉,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유지·보전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보수 및 개수의 개념이 새롭게 인식되고 있고, 보수에 사용되고 있는 무기질(시멘트)계 및 유기질(고분자)계 재료 또한 개발되고 있다. 보수재료의 종류 및 특징 (1) 철근방청용 재료 철근의 부식을 막기 위해서 그 부식 요인이 되는 물이나 산소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으로, 수지계 방식도료(에폭시수지, 알칼리수지), 폴리머시멘트페이스트 또는 모르타르 등이 있다. (2) 도포 침투재 방수성을 개선시키.. 2022. 7. 3.
건축 신소재 신소재 건축구조 부재의 기능이 세분화되고 요구성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기존 건축재료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고성능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특수한 환경에 부합될 수 있도록 건축재료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노력이 도모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첨단 건축재료 기법도 활용되고 있다. 기능성 콘크리트 혼화재료 콘크리트는 사용 목적, 대상 구조물, 사용 방법 및 사용 조건 등에 의해 다양한 성능이 요구되고 있지만, 그 요구되는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콘크리트의 기본재료인 시멘트, 골재, 물 이외에 콘크리트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추가적인 혼화재료가 혼입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기능성 혼화재료는 콘크리트의 사용 목적에 따라 요구되는 소요의 성능을 만족할 수 있도록 콘.. 2022. 7. 3.
석재의 성질 및 품질관리 석재 개요 석재란 건축재료로 사용하는 천연적인 암석 및 가공한 암석의 총칭이며, 인조석은 천연석재와 유사하게 인공적으로 성형시킨 재료이다. 고대인들은 암석의 중량감과 장중함으로 고인돌, 선돌(영국의 스톤헨지) 등 각종 거석구조물을 축조하였고 이집트와 그리스, 로마에서는 대규모 채석과 가공 및 시공법의 발달로 거대한 신전과 구조물을 석재로 건축하였다. 이후 석재는 목재, 점토벽돌과 함께 구조재로서 사용되었으나 19세기 이후 철강과 콘크리트가 구조재로 폭넓게 사용되면서 현재는 기초나 내·외장재로 사용되고 있다. 석재의 품질관리 -백화- 모르타르 중의 수산화칼슘 성분이 용출되어 대기 중의 탄산가스와 결합하여 탄산칼슘으로 되어 석재를 오염시킨다. 빗물 처리가 불충분한 경우 : 석재면과 다른 마감재가 만나는 경우.. 2022. 7. 2.
건축재료학 - 친환경적 재료 설계 건축재료학의 목적 건축재료는 건축물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천연 및 인공재료를 총칭한다. 건축재료학의 목적은 다종다양한 건축재료의 특성 및 성질을 명확히 구명하고 사용 목적과 조건에 따라 안전하고 합리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것이다. 근대에는 과학기술 및 운송 수단의 발달로 인하여 각종 재료를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건축물의 규모, 형태 및 기능이 세분되고 요구성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 다종다양한 건축재료가 개발 및 적용되고 있다. 건축재료는 일반적으로 설계자 · 시공자 또는 건축물의 사용자가 다종다양한 재료들 가운데 건축물의 종류나 입지 조건 또는 예산 등에 대하여 최적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선정하는 것이다. 건축부재에 요구되는 성능 건축.. 2022. 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