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3 건축 신소재 신소재 건축구조 부재의 기능이 세분화되고 요구성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기존 건축재료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고성능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특수한 환경에 부합될 수 있도록 건축재료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노력이 도모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첨단 건축재료 기법도 활용되고 있다. 기능성 콘크리트 혼화재료 콘크리트는 사용 목적, 대상 구조물, 사용 방법 및 사용 조건 등에 의해 다양한 성능이 요구되고 있지만, 그 요구되는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콘크리트의 기본재료인 시멘트, 골재, 물 이외에 콘크리트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추가적인 혼화재료가 혼입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기능성 혼화재료는 콘크리트의 사용 목적에 따라 요구되는 소요의 성능을 만족할 수 있도록 콘.. 2022. 7. 3. 석재의 성질 및 품질관리 석재 개요 석재란 건축재료로 사용하는 천연적인 암석 및 가공한 암석의 총칭이며, 인조석은 천연석재와 유사하게 인공적으로 성형시킨 재료이다. 고대인들은 암석의 중량감과 장중함으로 고인돌, 선돌(영국의 스톤헨지) 등 각종 거석구조물을 축조하였고 이집트와 그리스, 로마에서는 대규모 채석과 가공 및 시공법의 발달로 거대한 신전과 구조물을 석재로 건축하였다. 이후 석재는 목재, 점토벽돌과 함께 구조재로서 사용되었으나 19세기 이후 철강과 콘크리트가 구조재로 폭넓게 사용되면서 현재는 기초나 내·외장재로 사용되고 있다. 석재의 품질관리 -백화- 모르타르 중의 수산화칼슘 성분이 용출되어 대기 중의 탄산가스와 결합하여 탄산칼슘으로 되어 석재를 오염시킨다. 빗물 처리가 불충분한 경우 : 석재면과 다른 마감재가 만나는 경우.. 2022. 7. 2. 건축재료학 - 친환경적 재료 설계 건축재료학의 목적 건축재료는 건축물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천연 및 인공재료를 총칭한다. 건축재료학의 목적은 다종다양한 건축재료의 특성 및 성질을 명확히 구명하고 사용 목적과 조건에 따라 안전하고 합리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것이다. 근대에는 과학기술 및 운송 수단의 발달로 인하여 각종 재료를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건축물의 규모, 형태 및 기능이 세분되고 요구성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 다종다양한 건축재료가 개발 및 적용되고 있다. 건축재료는 일반적으로 설계자 · 시공자 또는 건축물의 사용자가 다종다양한 재료들 가운데 건축물의 종류나 입지 조건 또는 예산 등에 대하여 최적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선정하는 것이다. 건축부재에 요구되는 성능 건축.. 2022. 7. 2. 혼화재 - 혼화제2탄 4. 고성능 AE 감수제 단위수량을 저감시키면서도 탁월한 시공연도를 확보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으로 유동화 콘크리트가 제안되고 있다. 유동화 콘크리트는 슬럼프 로스가 큰 결점이 있으므로 타설 직전에 유동화시킬 수밖에 없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종래의 감수제에 비해 더 많은 감수가 가능하면서도 20% 정도 슬럼프 로스가 적은 고성능 AE 감수제가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종래의 AE 감수제에 비해 극히 감수율이 높고, 슬럼프의 경시 변화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콘크리트와 동일한 관리 방법으로 고품질, 고내구성 콘크리트를 제조하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고성능 AE 감수제의 사용 목적은 다음과 같다. ① 단위수량 대폭 감소, 고내구성 콘크리트 제조 ② 유동화 콘크리트의 제조에 사용 ③ 고강.. 2022. 7. 2. 이전 1 ···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