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3 방수공법 및 방수재료 도막계 방수재료 도막방수란 방수용으로 제조된 우레탄고무, 아크릴고무, 고무아스팔트, 클로로플렌고무계,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 등의 액상형 재료를 콘크리트 바탕에 바르거나 뿜칠 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을 말한다. 방수층의 두께는 보통 건조 후 도막두께 2~3mm를 기준으로 하지만, 강도 보강 및 두께 확보 목적으로 보강포를 사용할 경우는 3~6mm를 표준으로 한다. 도막방수재는 상온에서 사용되므로 운반 시의 위험이 없고, 액체 상태의 고분자 물질이 화학적 반응경화 혹은 건조 경화함으로써 방수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작업에 어려움이 없으며 시공이 간단한 편이다. 또한 바탕과의 밀착 형태로 방수층이 형성되므로 누수 부위의 발견이 쉬워 보수성이 좋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현장에서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 2022. 7. 14. 목재의 설계를 위한 특성 목재의 물리 및 역학적 특성 1) 목재의 함수율 목재의 함수율은 목재 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무게를 목재의 전건무게로 나누어서 백분율로 표현되는 값이며 목재 내 수분의 함량을 나타내는 척도로써, 나누어 주는 목재의 전건무게이기 때문에 함수율이 100%를 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함수율의 측정은 사용법이 간단하며 비교적 정확한 함수율을 나타낼 수 있는 전기저항식 수분 측정계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2) 목재의 밀도와 비중 목재의 밀도는 섬유포화점 이하에서는 결합수가 많아지게 됨에 따라 부피보다는 무게가 더 크게 증가되기 때문에 전건상태에서 섬유포화점에 이를 때까지 밀도는 점차 커지게 되지만 섬유포화점 이상부터는 자유수의 증가에 따라 목재는 무거워지며 밀도가 더욱 커지게 된다. 전건재 비중은 목재의 공극.. 2022. 7. 13. 건축용 목재의 종류 목재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콘크리트를 이용한 건축물 및 그 외 기능성 재료들의 등장으로 한때 목재의 사용량이 급감하였으나 생활패턴과 환경의 변화로 인해 목재의 사용성 및 기능을 재인식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목재의 사용량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선사시대부터 순수 목조 건축, 토조, 석조 및 조적조의 뼈대구조로 사용되어 왔으며, 현재는 목조 주택의 주요 구조부재와 내부 마감재, 가설재 등으로 사용패턴이 변화되었지만 목제품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고기능 · 신소재와 접목된 복합 (hybrid) 목재 등의 등장으로 건축재료로서 목재의 선택 폭이 매우 넓어져 있다. 목재를 이용한 건축용 재료 원목 절단 과정 원하는 방향으로 나무를 쓰러뜨리기 위해 V형의 쐐기 모양으로 목재를 잘라낸다. 추구(back cu.. 2022. 7. 13. 블록조 종류 및 특징 조적조 조적조의 종류 고대로부터 건축물의 주요 구조부를 벽돌이나 돌 등을 결합재인 모르타르로 한 장씩 접착시켜 쌓아 올리는 건축구조방식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또한, 이런 벽돌이나 돌을 미리 큰 판으로 제작하여 구성하는 방법과 함께 콘크리트 블록이나 패널(panel)도 출현하게 되었다. 벽과 같은 정도의 두께로 한 실 정도의 폭과 한 층높이를 가진 것을 대형 패널이라고 한다. 또한, 높이는 한 층 높이지만 폭발 지도인 것 혹은 폭 방향이 1m정도인 것 혹은 폭이 한 실 정도이지만 높이가 1m 정도인 것을 중형 패널이라고 한다. 이에 비해, 폭과 높이 모두 소구획한 것을 소형패널 또는 블록이라고 한다. 이러한 블록모양의 부재를 쌓아 올려 만든 건축물을 일반적으로 조적조(masonry construction.. 2022. 7. 12. 이전 1 2 3 4 5 6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