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일반구조학

창호와 바닥의 기능 및 종류

guunhang 2022. 7. 9. 09:11
반응형

스틸 새시(steel sash)

창을 제작하는 새시 바는 창의 종류, 기밀성, 빗물막이, 유지 보존의 측면에서 검토하여, 강판을 중공으로 가압하여 만든 중공식, 소정의 단면으로 압연하여 만든 압연식, 철판을 구부려 유리홈을 만든 관절식 중에서 선택한다. 멀리온은 개구부의 면적이 클 때 보강과 외관을 위하여 중간선틀 위치에 대는 중공형 단면의 부재를 말한다. 

스테인리스 스틸 창호 

강도가 크고, 미려하지만 재료의 가공과 마무리가 어렵다. 공기 중이나 수중에서 녹슬지 않고, 초산과 유기산에는 안정적이지만, 염산과 황산에는 약하며 염류에는 그리 약하지 않다. 제작 공법은 강제와 같고, 용접은 스테인리스 전용의 특수 용구를 쓰며, 압착기를 이용하여 접는데 재료의 성질상 모서리를 예리하게 접기는 곤란하다.

알루미늄 창호

압출식은 임의의 복잡한 단면을 만드는 것이 용이하므로 차음성이 높은 방음창 등에 적합하고, 가볍기 때문에  미서기창 등에 문바퀴를 달아서 사용할 수 있다. 강도가 약하므로 큰 창문에는 통유리를 끼우지 말고, 중간살을 보강하는 것이 좋으며, 정첩달기나 미들창 등은 피하는 것이 좋다.

금속제 창호

금속제 창호는 철제, 경금속제, 알루미늄제, 스테인리스 강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스틸 도어(steel door) 

문틀과 문짝을 일체로 제작하며, 기밀성과 개폐 조작이 우수하다. 철판문은 앵글 등으로 울거미를 짜고, 철판(steel plate)을 댄 간단한 것으로 공장, 창고 등에 사용하며, 양판문은 문틀 및 울거미를 중공형으로 맞추어 용접하고, 양판(panel)을 댄 것으로 양판 유리문, 유리문, 플러시문 등이 있다. 방화문은 기밀하게 하여야 되는데 갑종방화문은 철판의 두께가 1.5mm 이상인 것이고 을종방화문은 0.8~1.5mm 정도인 것이다. 이외에도 매달은 문(hanger door), 주름문(folding gate), 강제 셔터(shutter) 등이 있다.

 

창호 철물

정첩 및 개폐조청기 - 정첩(hinge, butt)은 문짝을 문틀에 달아 여닫는 축이 되는 것이며, 재료는 구리, 스테인리스, 알루미늄합금, 주물 등을 쓴다. 돌쩌귀 종류인 피봇 힌지와 플로어 힌지 및 여닫음 조정기인 도어체크 등도 문짝을 여닫는 역할을 돕는 것이다. 

자물쇠 및 손잡이 - 자물쇠에는 헛자물쇠(latch)와 본자물쇠(dead lock) 역할을 하는 함자물쇠나 실린더 자물쇠가 있고, 걸쇠 및 꽂이쇠로 잠그는 경우도 있다. 손잡이는 알손잡이, 돌림손잡이(lever handle 갈구리 손잡이), 굽은 손잡이가 있고, 파이프 손잡이, 손걸이, 오목손걸이, 밀판 등도 사용된다.

유리

재료 및 제법

유리의 비중은 판유리가 2.5 내외이지만, 성분에 따라서 소다 유리는 2,54, 연유리는 3.77이다. 소다 석회 유리는 크라운 글라스라 부르며, 모스 경도가 4.5~5.5 정도이고, 투과율이 커서(92% 이상) 창호에 많이 쓴다. 유리의 강도는 두께, 성분 열처리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압축강도는 5,000~12,000 kgf/cm², 인장강도는 300~800 kgf/cm², 휨강도는 250~1,000 kgf/cm² 열전도율은 0.65~0.83kcal/mh℃이며 유리를 가열한 후 급냉각하면 부분적인 팽창 수축으로 내부응력이 생겨서 파손된다. 판유리는 원료의 계량, 분쇄, 배합을 거쳐서 1350~1450°C로 용융, 성형하고 서냉 가공하여 생산하게 되는데, 성형 방식에 따라서 인양 방식, 플로트 방식 등이 있다.

종류

판유리는 보통 창호에 쓰는 박판 유리와 큰 창이나 진열창 등에 쓰는 후판 유리가 있다. 후판 유리를 공장에서 기계로 양면 평탄하게 연마 마무리한 것이 연마판 유리이고, 이 보다 광택이 우수하며, 전혀 얼룩이 없는 고급 유리인 플로트 유리는 유리의 표면 장력과 자중을 이용하여 완전히 평탄하게 만드는 제법에서 생긴 이름이다. 형판 유리는 한쪽면에 무늬를 낸 것으로 반투명이고, 흐린 유리는 표면을 금강사나 모래로 갈아서 만든다.

망입판 유리는 후판 유리를 성형하면서 철망을 집어넣은 것으로 방화 및 방재용으로 사용하고, 강화유리는 후판 유리를 고온담금질 가공하여 강도를 높게 만든 것인데 전체가 한 번에 깨지므로 자동차, 고층건물, 천창, 현관홀 등에 사용한다. 페어 유리는 중간에 공기층을 두고, 밀봉한 겹유리로서 단열 및 방음에 좋고, 접합유리는 판유리 사이에 플라스틱을 배합하여 중간막 때문에 깨져도 파편이 없는 안전유리로 자동차, 은행, 진열창 등에 사용한다. 이외에도 열선반사유리, 열선흡수유리, 한면투시유리(mage glass, half mirror), 스테인드유리, 유리타일, 유리블록, 프리즘 유리, 유리솜(glass wool) 등의 특수제품이 있다.

끼우기

목제 창호에서 유리 끼우는 방법은 웃막이대를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만들어 그 사이로 끼워 내리는 방법과 퍼티나 누름대로 고정하는 방법이 있다. 스틸 새시에는 클립 퍼티 고정 공법을 쓰는데 근래에는 누름대 역할을 하는 실링재를 사용하는 추세이다. 

SSG(structural sealant glazing)라 불리는 강재 등으로 지지되던 유리의 지지를 유리와 고성능의 실링재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방법이다. 알루미늄 새시에는 염화비닐의 글레이징 채널 및 비드를 사용하는 개스킷 고정 공법을 쓴다. 후판 유리는 고무제 개스킷을 쓰는데 특히 지퍼 개스킷을 쓰면 철골이나 콘크리트에 직접 유리를 끼우는 것이 가능하다. 유리로 건물의 정면을 장식하는 경우 유리의 무게 증가에 의한 파손을 피하려면 상부에서 매달아 내리는 방법을 쓴다.

바닥의 종류 및 기능 

 바닥은 위치, 형태, 용도, 재료, 구법 등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위치에 따라 옥내 바닥과 옥외 바닥으로 대별된다. 옥외 바닥에는 보행 지붕과 같이 지붕을 겸한 것이나 발코니 바닥, 외부 통로, 테라스 등이 있고, 내수성이나 내후성이 요구된다. 옥내 바닥에는 최하층 바닥과 중간층 바닥이 있으며, 최하층 바닥은 방습, 단열이 요구되고, 중간층 바닥은 방음, 내화 등의 성능이 중요시된다. 이외에 필로티 상부의 바닥, 지하실 바닥 등도 있다. 바닥의 형태에 따라 수평 바닥과 경사 바닥으로 분류할 수 있고, 계단도 일종의 바닥으로 볼 수 있지만 거의 대부분은 수평 바닥을 의미한다. 물론 이 중에서도 외부 바닥과 방수 바닥은 약간의 구배를 유지하는 경우도 있다.


반응형